본문 바로가기

웹(web)136

css code structure(css 코드 구조) css 문법은 html의 style 태그 안에 들어간다. ( ) 에서 ~부분이다. css가 단독으로 쓰일 일은 없다. 항상 html의 특정 태그를 위해 존재한다. 프론트엔드 개발시 html과 css를 혼용해서 사용하기 때문에 초반에는 구분할 필요가 있다. 그렇지 않으면 수 많은 태그가 쏟아져 나와 과부하가 걸릴 것이다. css의 신택스는 selector {(css 속성: 값)+}과 같은 형식이다. 즉, 특정 태그를 지칭하고 그 태그에 css 속성을 하나 이상 부여하는 것이다. 그렇다면 앞으로 공부할 것은 특정 태그를 지칭하는 방법과 그 태그에 적용할 css 속성이다. html5에서 div가 레이아웃을 나눈다고 하였는데 이 때 레이아웃은 논리적인 것이다. 따라서 css없이 html만을 사용하여 코딩하면 원.. 2020. 5. 2.
HTML5 tag catecory(html5 태그 분류) HTML5의 태그 개수가 50개도 넘다 보니 다 외우는 것이 어렵다. 따라서 기능적인 관점에서 태그를 분류하고 이 분류를 기억하는 것이 기억에 용이할 것이다. 우선 익숙해질 때까지 태그가 어떤 카테고리에 들어갔는지 계속 보다보면 효율적일 것이다. 1. 레이아웃 관련 태그 = 웹사이트의 화면에 컨텐츠를 넣기 위해선 레이아웃을 정하는 것이 선행된다. 상단 메뉴바, 중간 컨텐츠영역, 하단부와 같이 레이아웃을 결정하는 것이 선행되어야 한다. 다른 블로그나 책에서 섹션 태그라고 하면서 여러 태그를 언급하는데 내 생각에는 div면 충분한 것 같다. 왜냐면 각 div 별로 class를 header, main, footer로 나누는 것이 header, section, footer를 쓰는 것과 의미적으로 똑같기 때문이다.. 2020. 5. 1.
이미지 첨부시 대체 글자가 필요한 이유(img 태그 사용시 alt속성을 사용해야 하는 이유) 웹 사이트를 만들 때 사용자에게 컨텐츠를 100% 전달해야 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즉, 장애인, 고령자와 같은 사용자들도 고려해야한다. 우리는 웹 접근성을 최대한 높게 해야한다. 스마트격차지수라는 지표로서 한국정보화진흥원에서 주기적으로 정보격차 실태조사 보고서를 배포하고 있다. 일반국민을 100으로 잡고 그에 따른 비율인데 점차 증가하고는 있지만 격차가 존재한다. 구분 2013년 2014년 2015년 장애인 56.7% 60.2% 62.5% 장노년층 48.5% 54.3% 56.3% 웹 개발시 사소하지만 이런 접근성을 올려줄 수 있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img 태그를 사용할 때 alt태그의 속성을 항상 작성하는 습관 시각 장애인이 사용하는 스크린 리더 프로그램에서 img태그를 보면 alt태그에 적힌 속.. 2020. 5. 1.
html guide line(가이드 라인) 현재 html5가 웹 표준이며 웹 접근성을 가져야 한다. 여기서 웹 표준은 구조, 표현, 동작이 원하는 바와 같게 동작하도록 정해둔 규칙이라고 볼 수 있다. 웹 접근성은 웹을 사용하는 사람이 누구인지 상관없이 제공하는 컨텐츠를 수용할 수 있는 성질이다. 즉, 시각장애우 같은 경우 웹을 음성으로 읽어주는 프로그램을 이용하는데 이 경우에도 컨텐츠를 원활하게 제공되도록 웹사이트를 제작해야된다. 2020. 4.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