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단일 장애점(單一障礙點, 영어: single point of failure, SPOF)은 시스템 구성 요소 중에서, 동작하지 않으면 전체 시스템이 중단되는[1] 요소를 말한다
예시 1)
리스트 화면 server side 렌더링 시 10 개의 쿼리를 호출하는데, 이 중 a 쿼리가 실패할 경우 페이지 렌더링이 실패한다면?
-> a 쿼리는 리스트 화면의 단일 당애점이 될 수 있다.
예시 2)
여러 개의 서버가 떠있는데, a 서버가 모든 서버에서 사용하는 기능(회원과 관련된 처리 등)을 하고 있다면?
-> a 서버는 모든 서버의 단일 장애점이 될 수 있다.
단일 장애점이 된다는 것은 해당 포인트의 실패가 모든 시스템이 중단되는 것이며, 크리티컬한 이슈가 생긴다. 따라서, 단일 장애점이 되지 않도록 해야한다.
장애는 일어날 수 있다. 하지만, 전체 시스템을 중단 시키는 단일 장애점ㅇ 최소한으로 줄이는 것이 필요하다.
예시 1)에서 a 쿼리가 실패하게 되었을 때 해당 부분만 에러 표기를 하고 다른 페이지 영역을 렌더링 하도록 하는 등의 조치를 해야한다.
'개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병목 (0) | 2023.07.28 |
---|---|
평균의 함정 (0) | 2023.07.28 |
스크럼가이드 2020 요약 (0) | 2023.05.25 |
함수형 프로그래밍이란 무엇인가? (0) | 2022.11.05 |
graphql client에서 정규화(normalization)와 직렬화(serialization) (0) | 2022.10.20 |